거버넌스
이사회 감독 체계
당사는 이사회의 감독 하에 지속가능성 활동의 추진을 위해 대표이사 사장을 위원장으로, 당사 이사(감사 등 위원 제외)를 위원으로, 경영기획실을 사무국으로 하는 '지속가능성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원회)'를 설치하고, 그 하부 조직으로 추진위원회에 의한 지속가능성 활동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지속가능성 활동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경영기획실, 관리본부 본사 백오피스 부서의 직원으로 구성된 '지속가능성 실무위원회(이하 실무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성 추진위원회의 역할
추진위원회에는 당사 이사가 구성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실무위원회의 제안을 받아 각종 활동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에 지속가능경영 활동에 관한 기본방침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로부터 지속가능경영 활동 추진에 관한 집행 권한을 위임받아 지속가능경영 활동 추진 및 각종 과제에 대한 대응을 협의하고, 각 업무 집행 부서에 지속가능경영 활동의 실행을 지시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경영실무위원회의 역할
실무위원회는 우리 그룹의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파악하여 추진위원회에 다양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각 업무 집행 부서 및 CO₂배출량 감축을 추진하는 프로젝트와 연계하여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결정된 지속가능경영 활동에 대해서는 활동 현황 모니터링 및 진행상황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분기별로 각종 활동의 진행 상황을 추진위원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전략
한화그룹은 1.5℃ 시나리오(일부 2℃ 시나리오)와 4℃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전환 리스크, 물리적 리스크 및 사업기회를 파악 및 분석하였습니다. 그룹이 인식하고 있는 단기, 중기, 장기 기후 관련 리스크와 기회는 다음과 같습니다.
시나리오의 세계관
리스크(전환 리스크, 물리적 리스크)
기회
리스크 관리
그룹 경영에 대한 리스크를 종합적으로 추출하고 배출된 리스크에 대한 저감 활동을 추진하기 위해 리스크관리위원회를 설치하여 분기별로 수립된 리스크 저감 계획과 그 달성 현황을 이사회에 보고하고 평가를 받아 개선 등의 지시를 받는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가능성 관련 리스크에 대해서는 실무위원회에서 경영환경과 타사 사례 등을 분석하여 리스크와 기회를 식별하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추진위원회에 해당 리스크에 대응하는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제안하고, 결정된 활동에 대해서는 진행 상황 등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리스크관리위원회와 연계하여 각종 리스크 대응이 각 위원회에서 중복되지 않고 포괄적으로 대응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 그룹은 이사회가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의 감독 책임을 맡아 기후 관련 이슈를 거버넌스 구조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리스크 관리에 대한 명확한 책임을 가진 이사를 선임하고 정기적으로 진행 상황을 검토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사업 리스크를 줄이고 지속가능한 경영전략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그룹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여 투명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관련 지표와 목표
당사 그룹은 기후변화 관련 지표로 국내 직영점 매출액 당 CO₂배출량(SCOPE 1, SCOPE 2)의 원단위 배출량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국내 직영점 매출액 당 CO₂배출량을 매년 원단위 1.0%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매장, 공장, 본사 각각에서 CO₂배출량 감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